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, disk 용량이 부족하다는 경고를 받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,
이때, 바로 확인해서 처리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장애의 원이이 될 수 있다.
disk 용량이 부족하다는 경고를 받고 나면 뭐 부터 봐야 하는 좀 막연하다.
이때, 사용하면 좋은 명령어가 du 이다.
사용 형식은 du [OPTION] ... [FILE]....
내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
전체에서 어느 디렉토리의 용량이 많은지를 확인한다.
du -sh /*
예로, 용량이 가장 큰 디렉토가 /var 라면, 다시, /var 하위의 디렉토리나 파일의 용량을 확인한다.
du -sh /var/*
이와 같이 recursive하게 찾아 가다 보면, 어떤 디렉토리 파일의 용량이 많은지 확인하여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다.
-s: 지정된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과 서브디렉토리들의 용량을 합쳐서 표시
-h: 단위를 사람이 좀 더 읽기 편하게 표시해 준다.(기본은 byte임)
참고
- https://www.linux.co.kr/home/lecture/index.php?cateNo=&secNo=&theNo=&leccode=224
- http://blog.beany.co.kr/archives/286